몽고풍
고려 후기에 유행한 몽골(원)의 풍속.
원과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몽골의 풍속이 고려에 들어왔습니다.
주로 왕실이나 귀족 같은 상류층에서 유행했으며 일부 풍속은 민간에도 퍼졌습니다.
변발과 호복이 당시에 유행한 대표적인 몽골풍속인데 원종 때 원에 가 있던 세자 심(뒤의 충렬왕)이 처음 받아들인 후 왕실이나 상류 사회에 일상화되었고 또 왕이나 귀족들은 몽골식 이름을 가지고 있었고 홀치 속고치 조라치 아막 등 관제에도 몽골식 용어가 사용되었습니다.
그러나 공민왕 때 반원정책을 펴면서 변발 호복 등의 몽골 풍속을 금지했습니다.
그러나 족두리 도투락댕기 옷고름에 차는 장도 신부의 빰에 연지를 찍는 것 여자들이 머리를 땋을 때 넣는 다리 같은 것은 오랫동안 남아 있었습니다.
이 밖에 '장사치'처럼 말 끝에 '치' 또는 '아치'가 붙는 말이나 왕의 밥상을 수라라 하는 것도 몽골어의 영향입니다.
웅진대백과사전中
강남탈모,탈모관리,두피관리센터,산후탈모,원형탈모,여성탈모,두피,탈모클리닉,탈모진단,증상,두피케어
'일상글 과 성공사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강남탈모ㅡ 북조선인민위원회 (0) | 2019.11.29 |
---|---|
강남탈모ㅡ 북변간도관리사 (0) | 2019.11.28 |
강남탈모ㅡ목종 (0) | 2019.11.26 |
강남탈모ㅡ 목 (0) | 2019.11.25 |
강남탈모-모스크바삼상회의 (0) | 2019.11.24 |